소스트리 사용법
정리 겸 작성해 보는 소스트리 사용법
1. 깃 클론
상단의 Clone 버튼을 클릭한 후 나타난 입력창에 깃 주소를 입력하고 클론을 클릭한다.
참고. 브랜치 체크아웃으로 클론할 브랜치를 선택할 수 있다.
보통 C:\Users\사용자\Documents\프로젝트명에 클론한 프로젝트가 저장된다.
2. 작성 후 커밋, PUSH
에디터로 파일을 수정하고 저장한다.
소스트리의 파일상태를 보면 스테이지에 올라가지 않은 파일로 변경된 파일이 나타난다.
모두 스테이지에 올리기를 클릭한 후 설명을 작성하고 커밋을 누른다.
참고. 하단의 origin/master에 바뀐 내용 즉시 푸시를 체크하면 푸시까지 한번에 된다.
아니면 커밋하고 상단의 push 를 클릭한다.
master 브랜치에 잘 push 되었다.
참고. 커밋하기전 상단의 패치를 통해 History를 확인하고 Pull 로 땡겨받는다.
3. 브랜치 생성
지금 생성하는 브랜치는 로컬~~ 브랜치로
옆의 브랜치 클릭으로 브랜치를 변경할수 있다. (수정사항이 있다면 변경안됨)
4. 브랜치 작성 후 커밋, master 브랜치 소스 땡겨오기
5. 브랜치 master 에 병합하기, 충돌해결
6. 브랜치 삭제
7. 브랜치 전환
왼쪽 원격 > 체크아웃할 브랜치 선택> 새 브랜치 체크아웃 (원격 브랜치를 추적합니다 체크)> 확인
8. 아주 유용한 스태시
- 스태시는 pull 당겨올때 수정된 파일 충돌을 자동으로 해결해주는데 아주 유용하다.
스태시에 수정된 코드를 저장해 로컬코드를 깨끗하게 해놓고 브랜치에서 땡겨온다.
그 뒤에 수정된 코드를 다시 로컬코드에 덮는 방식이다.